화면 로딩중입니다.

점검 중

<모두의 말뭉치>
일부 기능 장애로 인하여 해당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최대한 빠르게 복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시스템 이용 장애 문의: 051-927-7111

닫기
인공지능(AI)말평>지난 과제>과제 개요

[2025]한국문화 질의응답(가 유형)

경진 대회 2025. 6. 11. ~2025. 7. 31. 과제 목록 보기

  1. 과제 개요

한국문화 질의응답과제는 인공지능의 한국 전통문화, 역사, 사회,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과제이다.

이 과제는 선다형, 단답형, 서술형의 세 가지 문형으로 구성되며, 선다형 문제에는 정답인 선지 번호를, 단답형 문제에는 단어, , 기호 등을, 서술형 문제에는 300~500자 사이의 설명문을 출력한다.

 

항목

내용

선다형

1896년에 창간된 한국 최초의 민간 신문은?\\n 1\\t 황성신문 2\\t 한성순보 3\\t 제국신문 4\\t 독립신문 5\\t 대한매일신보

정답

4

단답형

2005년에 개관하였으며, 교육 및 문화적 목적으로 영화를 상영하는 서울의 유일한 비영리 민간 시네마테크 전용관은 어디인가요?

정답

서울아트시네마

정답 인정

서울 아트 시네마, 서울아트 시네마, 서울 아트시네마

서술형

2024년 기준 한국의 일반 가정에서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정답

일반 가정에서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한국에너지공단 '그린홈'에서 시공업체를 선택한 뒤 업체가 가정을 방문하여 설치 가능 여부 및 적절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적절성 평가에 통과되면 업체가 사업신청서를 그린홈에 제출하고 공단의 검토를 받게 된다. 공단의 승인이 난 후 신청자가 예치금을 납부하게 되며 그 후 설비를 시작한다. 설비는 선정한 업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 확인 절차를 거쳐 신청자에게 보조금이 지급된다. 초기 설치 비용이 부담되는 경우 대여 사업자를 통해 태양광 발전기를 대여하는 방법도 있다.

 

2. 과제 정의

이 과제에서는 한국문화의 유형을 문화 지식(명제적 지식), 문화 실행(경험), 문화 관점(상호문화적 관점)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각각 일상생활부터 예술까지 10개 세부 영역을 포함한다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선다형(정수), 단답형(5어절 이하), 서술형(500자 이하)의 세 가지 문제 유형에 맞는 정답을 생성해야 한다.

성능 평가는 선다형의 정확도(Accuracy), 단답형의 완전 일치(Exact Match), 서술형의 루지(ROUGE)와 버트스코어(BERTScore), 블루알트(BLEURT)의 평균으로 측정하며단답형은 띄어쓰기나 약어 등을 고려한 정답 후보들이 “#”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3. 자료 형식

데이터 세트는 제이슨(Java 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으로 제공되며 각 제이슨(JSON)은 질문, 주제 키워드, 정답을 포함한다. 훈련 데이터와 시험 데이터는 동일한 제이슨 형식으로 제공되며, 시험 데이터는 각 텍스트에 대한 출력(output) 항목이 없어 참가 팀이 모델의 출력 결과를 추가하여 제출한다.

 데이터 세트는 훈련(train), 검증(validation), 시험(test) 데이터로 무작위 분할하여 제공한다.

 

 

훈련

검증

시험

대화 수

491

98

394

  

4. 기준 모델

기준 모델로는 사전 학습된 거대언어모델(LLM)을 사용하였다. 과제 수행 시 기준 모델에 대한 평가를 재현하기 위한 코드는 깃허브(github)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기준 모델] Qwen3-8B, HyperClova Text 1.5B
- [코드] https://github.com/teddysum/Korean_Culture_QA_2025

 

5. 대회 참가 규정

- 인공지능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팀 구성원은 모두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 회원이어야 한다

  팀 구성 인원 제한은 없고, 접수 기간 중 여러 팀 참여 가능하나 접수 종료 후 과제별 1개 팀만 선택해야 한다.

- 팀장은 팀원의 가입 이메일을 입력해 구성하며, 팀원 모두의 동의가 있어야 완료된다.

- 참가 팀은 과제를 해결한 결과를 정해진 양식에 맞추어 제출한다.(15개까지 제출 가능)

- 라이선스에 문제가 없는 모델을 개발하여야 하며, 외부 API를 통해 호출하는 모델(OpenAI )은 제출할 수 없다

  개발한 모델은 RTX 4090 24GB 1개에서 구동(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 외부에 공개된 데이터는 사용이 불가하며 과제 데이터(말뭉치)를 거대언어모델(LLM) 등을 활용해 변형 및 증강하여 사용할 수 없다(유형). 

  모델 입력을 위한 형식 및 형태 변형만이 허용된다.

- 순위표 기준 정성 평가 신청서를 제출한 상위 5개 팀을 정성 평가 및 발표 평가 대상자로 선정한다.(해당 팀에게는 별도 안내 예정)

- 최종 수상자는 정량 평가, 정성 평가, 발표 평가를 종합하여 선정한다.

 

6. 시스템 사용 방법

- 인공지능(AI)말평 알림 사용 안내 메뉴 내 동영상 참고

 

7. 문의

- ‘한국문화 질의응답-유형클릭 문의(들어가기 후 작성 가능)